기획/Youtube

[Youtube 요약] 마케터, 서비스 기획자, PM/PO는 어떤 데이터를 볼까? 직무별 핵심지표, 데이터 분석 차이

떰즈업 2024. 8. 21. 01:38

1. 마케터의 데이터와 핵심 지표

1) 마케팅 종류

(1)전략 마케팅: 회사의 전체적인 마케팅 채널과 브랜드별 전략 수립

(2)영업 마케팅: B2B or B2C 영업을 통해 직접적인 수익 창출

(3)제휴 마케팅: 다른 회사와의 B2B 사업 제휴 담당

(4)콘텐츠 마케팅: 브랜딩을 목적으로 SNS 등을 통해 대중과 소통

(5)CRM 마케팅: 자사 회원 대상 마캐팅 전개

(6)개인화 마케팅: 개별 고객의 니즈를 분석해서 맞춤형 프로모션 제공

(7)퍼포먼스 마케팅: 디지털 광고 성과 분석

(8)캠페인 광고 마케팅: (주로) 광고대행사

 

2) 마케팅에서의 주요 분석 주제

- 수익성 분석, 고객 분석

 

3) 데이터 분석 특징(퍼포먼스 마케팅 제외)

(1) 수익성 기준

- 매출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지표가 핵심 지표

- 주로 일회성 분석

- 마케팅 캠페인의 경우 B2B 제휴 기간이나 IP 라이센스 계약 기간, 비용 처리 등의 행정적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 단기성으로 운영

- 마케팅 캠페인이 종료된 시점에서 마케팅 전 후 매출 지표를 분석하는 것이 대부분

 

(2) 대상 고객 기준

a. 전통적 마케팅: 전체 고객 or 대중 대상

- 예1) 10만원 이상 구매 고객 사은품 증정 

- 예2) TV 광고를 통해 브랜딩 캠페인

b. 개인화 마케팅: 특정 고객 세그먼트 or 개인 대상

-예) 개인 검색을 기반으로 카테고리 쿠폰 제공

 


2. 서비스 기획자의 데이터와 핵심 지표

1) 서비스 기획자 직무 소개

- 유무형의 서비스를 기획하는 직무

- 하나의 서비스를 신규로 기획하거나 개선하면서 화면설계서, 서비스 정책서, 요구사항 정의서 등 다양한 문서 작업물 다양하게 설계

- 개발자와의 협업 빈번

 

2) 주된 데이터 분석 주제: 로그 데이터 분석

- 로그 데이터: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에 대한 정보 데이터

- 예) 모바일 앱에서의 로그 데이터

    a. 사용자가 앱을 최초로 설치한 날짜

    b. 특정 디바이스를 사용해 서비스에 가입하고 로그인한 기록

    c. 몇 분 몇 초에 어떤 페이지를 열람했는지

 

3) 데이터 분석 특징

- 지속적으로 트래킹해야하는 핵심지표 존재 > 하나의 기준으로 과거, 현재의 데이터 추이 비교

- 예)

    a. 모바일 앱에서의 핵심 지표: MAU(Monthly Active User,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잔존율(Retention) 등

    b.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핵심 지표 - 가입자 수, 이용자 수, 구매자 수 등
- 반복적으로 서비스의 핵심지표를 트래킹하기 때문에 자동화 대시보드를 만드는 경우 많음

- '매출'이라는 비즈니스 성과보다는 서비스 내 고객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향

- 프론트 페이지, 백오피스 함께 기획하는 경우가 많음 > 백오피스에 핵심지표를 대시보드 형식으로 볼 수 있게 통계 메뉴 세팅하면 좋음

- 'A 테이블에 있는 B 컬럼의 C 데이터' 등 로그데이터가 적재되는 정확한 위치 알면 데이터 분석 업무 수월 > 사내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관여도 자체가 높은 편

4) 데이터 분석 주의사항

(1) 반복적인 핵심지표와 대시보드를 바라보기 때문에 지표의 정의가 명확해야 함.

- 예)

    a. 특정 지표를 가장 유의미하게 측정하기 위한 daily/weekly/monthly 지표 산출

    b. 당일 지표가 아닌 기간 단위로 핵심지표 세팅하는 경우, daily의 평균치로 정의할 것인지, 기간 동안의 누적 지표로 파악할 것인지 결정

    c. 누적 지표의 경우, 동일인을 double counting할 것인지 unique한 유저 카운팅할 것인지 고려

 

(2) 서비스 출시 전 앱 안에서 어떤 유저 액션을 로그데이터로 수집할지 미리 정의하고 설계해야 함. - 서비스 성격에 따라 유의미한 핵심 지표 예측 능력 필요


3. PM/PO의 데이터와 핵심 지표

1) PM/PO 직무 소개

- PM: Product Manager

- PO: Product Owner

- 회사의 비즈니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품'으로 기획해서 비전과 방향성을 수립하고 개발 일정 관리를 통해 제품을 현실화하는 직무

- 국내에서는 회사마다 정의하는 바가 다르고 서비스기획자와도 유사. 정확하게 하는 일은 해당 기업의 JD를 통해 확인 가능

 

2) 주된 데이터 분석 주제 및 데이터 분석 주의 사항

a. 사업적인 성과를 프로덕트의 최종 목적으로 두고 이에 따라 바라보는 핵심지표 역시 로그데이터의 분석, 서비스의 사용성 분석 수준에서 나아가 비즈니스적인 임팩트를 보여주는 KPI로 세팅

b. '프로덕트를 사업적으로 성공시키는 것'이 PM의 목표 > 기획 문서를 상세하게 설계하는 역량 이상으로 사업단에서의 전략, 컨셉을 도출하고 시장을 분석하는 사업적 감각, 문제 해결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필요

c. 상대적으로 중장기 프로덕트를 초기 기획부터 출시, 운영까지 full life cycle로 돌리게 될 가능성 큼

요약> PM의 프로덕트 KPI는 이 서비스와 우리 회사의 사업이 실제로 연계되는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

우리 회사의 목표(북극성 지표, North Start Metric)가 '매출 성장'이라면, 이 북극성 지표에 기여하는 여러 input metric 중에 나의 서비스와 연계되는 지표를 프로덕트의 핵심지표로 삼기

 


출처

: 곰사원은 곰대표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watch?v=RxmSGnlI0PI&list=PLw7ntoVfZ_chjC3drxVej_BFFxLyequ05&index=1